📞 010-8781-4568
Github : 바로가기
아래 토글을 누르시면 프로젝트에서 제가 기여한 부분을 고객·경쟁·성과 관점으로 정리한 표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Java 기반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Java를 꾸준히 학습해왔으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관련 도서와 강의를 통해 습득한 객체지향 원리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Java의 객체지향에 대해 이해하였습니다.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를 구현했고, 모놀리식 및 MSA 아키텍처 설계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Spring과 SpringBoot의 차이점을 학습하며 SpringBoot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매핑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JPA 기능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무결성과 성능을 모두 고려한 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JPQL과 QueryDSL을 사용하여 복잡한 쿼리와 동적쿼리를 효과적으로 작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MySQL과 PostgreSQL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인덱스, 조인, 정규화 같은 기본 개념부터 트랜잭션 처리, 쿼리 최적화까지 경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성능 튜닝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두 InMemory DB를 프로젝트 목적에 맞춰 상황별로 활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Redis는 캐싱 및 JWT 관리를 위해 사용해 보았고, Memcached는 TTL을 활용한 사용자 권한 관리와 게시글 만료 제어에 적용해보았습니다.
AWS EC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Nginx를 사용해 리버스 프록시를 설정하여 실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Docker와 Docker Compose로 개발 환경을 컨테이너화하여 DB, Kafka 등 외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행해왔으며, 배포 시 Docker Hub를 통해 이미지를 관리하고 서비스 배포에 활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Jenkins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며 빌드부터 배포까지 자동화 흐름과 구조를 이해하고 프로젝트에 적용하였습니다.
Kafka를 사용해 MSA 환경에서 비동기 메세징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클러스터링 구성을 통해 메세지 전달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아웃박스 패턴을 적용해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고, JSON 대신 Avro스키마를 이용해 데이터 포맷을 최적화한 경험이 있습니다.
Prometheus와 Grafana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구축하고, 대시보드 프로비저닝으로 일관된 모니터링 환경을 자동화하였습니다.
또한 Loki와 PromTail을 통해 로그를 중앙 관리하고 Grafana에서 시각화하여 문제 발생 시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Slack과 연동하여 CPU 이상이 감지 되면 자동으로 알림이 발송될 수 있도록 설정한 경험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협업 시 Notion을 문서화와 일정관리 용도로 활용하고,
Slack으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여 업무 효율을 높였습니다.
Git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버전 관리를 수행하였으며, GitHub의 Pull Request와 이슈 트래킹을 통해 팀원들과 효과적으로 코드 리뷰 및 협업을 진행하였습니다.